영화 밀양은 2007년에 개봉한 영화로 이청준의 단편 소설 벌레 이야기가 원작입니다. 감독은 이창동이 메가폰을 잡았고, 주연으로 전도연(이신애 역), 송강호(김종찬 역)을 맡아 열연하였습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유괴 범죄 이야기를 넘어 용서에 대한 의미를 되살려주는 작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화 밀양 줄거리, 용서의 의미, 총평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영화 밀양 줄거리
영화는 서울에서 남편을 잃은 이신애가 아들을 데리고 남편의 고향인 밀양으로 아들과 함께 이사를 하면서 시작합니다. 가는 길에 자동차가 고장이 나서 카센터 사장인 김종찬이 차를 수리하면서 피아노 학원 자리를 연결해 줍니다. 신애에게 호감이 있는 종찬은 신애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여 밀양에서 피아노학원을 개업하고 정착을 하게 됩니다. 신애는 텃세를 부리는 원주민들과 어울리려고 애쓰고, 돈이 있는 척하며 땅도 보러 다닙니다. 아들 준은 학원에 다니며 웅변도 배워 학교에서 발표도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준은 유괴가 되고 신애는 종찬을 찾아가지만 들어가지 못하고 다시 발길을 돌립니다. 다음날 은행에서 현금을 찾은 신애는 유괴범이 지정한 장소에 돈을 갖다 놓습니다. 그리고 준을 찾으려고 정신이 없는 가운데, 준의 변사체가 강가에서 발견이 됩니다. 범인은 신애의 아들 준의 학원 운전기사였으며, 그는 경찰서로 잡혀가게 됩니다. 신애는 아들 준의 장례를 치르고 종찬은 신애를 위로합니다. 신애는 고통과 좌절감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데, 동네 약사는 신애에게 교회 나가기를 권합니다. 신애는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상처받은 영혼을 위한 교회 집회에 가서 울음을 터트립니다. 그리고 교회 구역회 집회에서 신애는 자신의 괴로움의 감정에서 평안을 얻었다고 간증을 합니다. 신애는 교회를 다니게 되고, 종찬은 신애에게 호감을 가지게 되어 교회를 출석합니다. 신애는 아들 준의 죽음으로 괴로웠던 삶을 버리고 교회를 의지하며 새로운 감정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교회에 열심히 된 신애는 전도 집회에도 나가게 되고, 그녀를 좋아하는 종찬도 그녀를 따라 참석하게 됩니다. 신애는 자신의 아들 준을 죽인 범인을 신앙의 힘으로 용서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기 위하여 교도소에 종찬과 교회 성도들과 같이 가게 됩니다. 교도소 접견실에서 신애는 자신의 아들 준을 죽인 범인과 마주치게 되고, 범인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전하게 됩니다. 그런데 범인도 교도소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받게 되었다고 이야기하면서,, 자신이 하나님께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께서 죄를 용서해 주셨다고 신애에게 말을 합니다. 교도소 밖으로 나온 신애는 쓰러지고, 종찬은 신애를 병원에 데려갑니다. 범인과의 대화에 정신적인 충격을 받은 신애는 행동이 이상해지고, 신애는 범인은 이미 용서를 받았기에 내가 용서할 수 없으며, 어떻게 자신이 용서를 하지 않았는데 하나님이 먼저 용서할 수 있을까?라는?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이후에 신애는 정신병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신애는 음악 CD를 훔치는 행동을 하며 교회 집회에 가서 성도들과 함께 목사님이 기도할 때, 훔친 거짓말이야 노래를 틀게 됩니다. 신애는 약국에 가서 교회 장로를 유혹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신애는 집에서 손목을 칼로 자르고 피를 흘리며 거리로 나가 살려달라고 외치게 되고 병원에 입원하게 됩니다. 영화는 퇴원하여 집에 온 신애는 종찬의 도움으로 머리를 자르면서 끝이 납니다.
용서의 의미
이 영화는 단순한 미성년자 유괴 범죄를 다루는 것을 넘어 용서에 대한 심오한 물음을 하게 됩니다. 이 영화 속에서 용서란 무엇일까요? 먼저 신애는 자신의 가장 소중한 아들을 죽인 범인을 도저히 용서할 수가 없었습니다. 또한 신애는 아들이 죽은 슬픔과 고통에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몸부림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녀에게 한 가닥의 희망처럼 다가온 것이 교회였습니다. 신애는 교회 집회를 통하여 신앙의 은혜를 체험하고,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를 알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을 치유해 주신 하나님의 사랑에 감격하여 상대를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이 들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정말로 어려운 결단을 내리게 됩니다.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범인을 찾아가 그를 용서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두 번째로 준을 유괴하고 살해한 혐의로 교도소에 수감된 범인은 교도소 안에서 교회집회를 통하여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알게 되고 자신이 저지른 죄를 회개하여 용서를 받았다고 이야기합니다. 신애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당사자인 자신이 용서를 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범인이 용서를 다른 존재인 하나님께 용서를 받을 수 있을까?라는 괴로움에 깊이 빠지게 됩니다. 세 번째는 하나님의 용서입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며, 인간의 생각을 넘어서 있습니다. 그렇기에 신애는 이러한 하나님의 용서를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면 과연 이 영화에서 주는 용서의 의미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인간관계에서 용서란 서로의 쌍방 간의 용서라는 사실입니다. 진정한 용서란 용서를 하는 자와 용서를 받는 자가 동시에 긍정할 때 생기는 감정이라는 것입니다.
총평
영화 밀양은 인간의 가장 비참한 본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신애는 가장 불행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당사자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먼저 남편은 바람을 피웠고 교통사고를 당하여 죽게 됩니다. 삶의 커다란 축을 잃어버린 신애는 그래도 남편에 대한 소중한 기억으로 준과 함께 밀양으로 이사 와서 살려고 합니다. 두 번째로 신애는 밀양 원주민들의 텃세를 이기기 위해 자신이 돈이 많은척하게 됩니다. 준의 학원 운전기사는 돈 때문에 준을 유괴하어 죽이게 됩니다. 신애는 마지막 희망이었던 준마저 하늘나라로 가게 되면서 고통으로 번민하게 됩니다. 세 번째로 신애는 교회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또 다른 희망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이 범인을 먼저 용서를 했다는 사실에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희망이 처참히 무너져 버리게 되었습니다. 신애는 모든 불행에서 벗어나고 싶었지만, 그 작은 희망마저도 하나님에게 철저히 유린된 느낌을 받았던 것입니다. 신애는 교회 및 하나님이 모두 가식이라고 여기게 됩니다. 그녀는 시공을 초월하는 하나님의 영역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살아야 하기에 비참한 마음으로 다시 머리를 자르고 살아가게 됩니다. 어쩌면 신애의 마음이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을 바라보는 관객들의 마음의 표출이 아닌가 생각하게 합니다. 또한 영화는 종찬이 신애에 대한 사랑에 대하여 생각해 보게 됩니다. 사실 신애는 종찬에게 눈길 한 번도 주지 않았습니다. 그런 신애를 종찬은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사랑합니다. 영화 포스터에서 나온 글귀처럼, 종찬의 신애를 향한 사랑이란 현실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헌신적인 사랑입니다. 이것은 현대를 사는 우리가 어려운 환경 앞에 너무나 쉽게 사랑을 버리는 모습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합니다.